사람의 심장에 대해 알아보고 심장에 생길 수 있는 병과 그에 따른 증상들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심장은 인간의 주먹만한 크기로 두꺼운 근육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심장 내부는 2 심방 2 심실로 이루어져 있으며 심방은 좌심방과 우심방으로 나뉘어집니다. 좌심방은 폐에서 온 혈액을 받아들이고 폐정맥과 연결되어 있고 우심방은 온몸에서 온 혈액을 받아들이며 대정맥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심실은 좌심실과 우심실로 나누어집니다. 좌심실의 경우 온몸으로 혈액을 보내며 대동맥과 연결되어있고 우심실은 폐로 혈액을 내보내며 폐동맥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판막은 혈액이 거꾸로 흐르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하고 심방과 심실 사이에 위치에 있습니다.
심장에서의 혈액의 흐름은 대정맥에서 우심방으로, 우심방에서 우심실로, 우심실에서 폐동맥으로 가게 됩니다.
또한 폐정맥에서 좌심방으로 좌심방에서 좌심실로 좌심실에서 대동맥으로 흐르게 됩니다.
심장은 심실과 심방이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며 규칙적인 혈액을 받고 내보내는 운동을 진행하는데 그것을 심장 박동이라고 합니다. 심방과 심실의 이완으로 대정맥과 폐정맥을 통해 혈액이 심장으로 들어오게 되고 심방 수축으로 심방의 혈액이 모두 심실로 들어가게 됩니다. 그후 심실이 수축하며 심실의 혈액이 대동맥과 폐동맥을 통해 온몸과 폐로 혈액이 뿜어지게 됩니다.
당연히 뿜어지는 혈액들은 혈관을 통해 흘러가게 되는데, 혈관의 종류는 동맥 혈관, 모세 혈관, 정맥으로 구분되어 집니다.
동맥은 심실에서 나오는 혈액이 흐르는 혈관으로 혈압이 높고 혈관벽이 두꺼우며 탄력이 좋은 성질이 있습니다. 동맥은 몸속 깊은 곳에 분포하며 맥박을 느끼는 곳이기도 합니다.
모세 혈관은 동맥과 정맥을 연결하는 혈관으로 온몸에 그물처럼 퍼져 있어서 혈관 중에 종 단면적은 가장 큰 것이 특징입니다. 모세 혈관은 혈관벽이 한 겹의 세포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혈액자체가 흐르는 속도가 매우 느립니다.
정맥은 심방으로 들어가는 혈액이 흐르는 혈관을 말하는데 동맥에 비해 피부 가까이에 분포하고 있고 동맥보다는 혈관벽이 얇고 탄력성이 없는 편 입니다. 혈압이 낮아 주변 근육이 운동하는 힘으로 이동을 하는 편입니다.
심장은 인간의 주먹만 한 크기로 두꺼운 근육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심장 내부는 2 심방 2 심실로 이루어져 있으며 심방은 좌심방과 우심방으로 나누어집니다. 좌심방은 폐에서 온 혈액을 받아들이고 폐정맥과 연결되어 있고 우심방은 온몸에서 온 혈액을 받아들이며 대정맥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심실은 좌심실과 우심실로 나누어집니다. 좌심실의 경우 온몸으로 혈액을 보내며 대동맥과 연결되어있고 우심실은 폐로 혈액을 내보내며 폐동맥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판막은 혈액이 거꾸로 흐르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하고 심방과 심실 사이에 위치에 있습니다.
심장에서의 혈액의 흐름은 대정맥에서 우심방으로, 우심방에서 우심실로, 우심실에서 폐동맥으로 가게 됩니다.
또한 폐정맥에서 좌심방으로, 좌심방에서 좌심실로, 좌심실에서 대동맥으로 흐르게 됩니다.
심장은 심실과 심방이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며 규칙적인 혈액을 받고 내보내는 운동을 진행하는데 그것을 심장 박동이라고 합니다. 심방과 심실의 이완으로 대정맥과 폐정맥을 통해 혈액이 심장으로 들어오게 되고 심방 수축으로 심방의 혈액이 모두 심실로 들어가게 됩니다. 그 후 심실이 수축하며 심실의 혈액이 대동맥과 폐동맥을 통해 온몸과 폐로 혈액이 뿜어지게 됩니다.
당연히 뿜어지는 혈액들은 혈관을 통해 흘러가게 되는데, 혈관의 종류는 동맥혈관, 모세 혈관, 정맥으로 구분되어 집니다.
동맥은 심실에서 나오는 혈액이 흐르는 혈관으로 혈압이 높고 혈관 벽이 두꺼우며 탄력이 좋은 성질이 있습니다. 동맥은 몸속 깊은 곳에 분포하며 맥박을 느끼는 곳이기도 합니다.
모세 혈관은 동맥과 정맥을 연결하는 혈관으로 온몸에 그물처럼 퍼져 있어서 혈관 중에 종 단면적은 가장 큰 것이 특징입니다. 모세 혈관은 혈관 벽이 한 겹의 세포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혈액 자체가 흐르는 속도가 매우 느립니다.
정맥은 심방으로 들어가는 혈액이 흐르는 혈관을 말하는데 동맥에 비해 피부 가까이에 분포하고 있고 동맥보다는 혈관 벽이 얇고 탄력성이 없는 편 입니다. 혈압이 낮아 주변 근육이 운동하는 힘으로 이동을 하는 편입니다.
심장병
심장병은 관상동맥 질환과 심장판막 질환이 있고 그 외에는 심장기형과 그 외의 외상 등이 있습니다.
심장병이 생기는 원인으로는 흡연과 잦은 음주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대기오염, 비만, 고혈압, 가공식품 과다 섭취 등 다양한 요소로 병이 발병할 수 있습니다.
관상동맥 질환은 한국에서 사망 순위 3위를 차지하는 대표적인 심장병 중 하나입니다.
또한, 심근경색, 심장마비, 협심증, 인공심폐기, 부정맥, 신장암, 심부전 등이 많이 발병하는 병들 입니다.
심근경색은 심장 근육이 혈액을 공급받지 못해 생기는 괴사 질환으로 혈관 벽에 콜레스테롤이 달라붙거나 혈관이 좁아지는 이상 증상과 혈액 순환 도중에 생긴 혈전이 혈관을 막는 등 여러 원인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 될 수 있습니다.
심근경색은 몇 분간 심한 통증이 발생하지만 혈액 공급이 원활해지는 경우 통증은 자연스럽게 사라집니다.
심장마비는 심정지가 일어나는 현상을 말하는데, 심정지를 했다고 바로 사람이 사망하는 것은 아닙니다. 응급조치로 인하여 소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협심증은 동맥경화증, 혈전증, 혈관수축 및 연축 등의 원인에 의해서 관상동맥 중 어느 한 곳이든 급성이나 만성으로 통로 지름이 감소하는 협착이 생기는 경우 심장 전체나 일부에 혈류 공급이 감소하며 산소, 영양 공급이 되지 않아 심장근육이 이차적 허혈 상태에 빠지는 것을 말합니다.
심장의 펌프질이 멈추지 않게 잘 관리해야 하며 고령자와 흡연자, 고혈압 환자와 당뇨병환자, 가족력이 있는 환자 등이 위험 인자들이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가슴을 쥐어짜는 느낌을 호소하며, 주로 정중앙 또는 약간의 좌측 부위에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흉통은 대개 5분 정도 지속되고 긴 경우 30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렇게 긴 경우는 흔치 않습니다.
부정맥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서 발병되는데 심장 내 전기적 신호의 전달 경로나 그 주변 심장 부위에 이상이 생긴 경우 발생합니다. 중년 이후에는 여러 형태의 부정맥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각별한 유의가 필요합니다.
심장박동 수가 심하게 느려지면 서맥성 부정맥이 되고, 반대로 너무 빨라지면 빈맥성 부정맥이 됩니다.
예정보다 한박자 빨리 나오는 경우는 조기 박동이라고 하며 이렇게 3가지로 분류됩니다.
부정맥 자체는 별다른 큰 증상은 없기 때문에 부정맥으로 인한 합병증 방지를 위해서 약물을 복용하는 경우만 존재합니다.
심부전은 심장의 구조적으로나 기능적으로 이상이 생겨 심장 혈액을 받아들이는 기능이나 짜내는 기능이 감소하며 신체 조직들에 필요한 혈액을 제대로 공급하지 못하는 질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서 심부전은 발생할 수 있으며, 심장혈관 질환이 가장 많은 원인이 됩니다.
또한 심장 근육 질환과 고혈압, 판막 질환 등이 주요 원인일 수 있습니다.
증상은 계단을 오르기만 해도 과도하게 숨이 차오르는 증상이 가장 흔한 증상입니다.
심장에서 혈액을 제대로 짜내지 못해서 피로감과 운동 능력 저하가 발생하게 되어 감이 비대해지거나 복수가 차고 심할 경우는 소변량이 감소하고 체중이 증가할 수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는 심전도 검사나 혈액 검사, 흉부 촬영, 심장 초음파 등으로 진단 및 검사를 할 수 있습니다.